본문 바로가기
생활 리뷰

쇼트트랙 판정 논란은 왜 나오는 걸까?

by 낭만리뷰어 2022. 2. 8.

이번 베이징 올림픽 쇼트트랙이 판정 논란으로 얼룩지고 있습니다. 4년 동안 피 땀을 흘리며 준비했던 선수들에게 오심은 너무 큰 아픔이자 트라우마가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판정 논란이 자꾸 나오는 걸까요. 우리 선수들이 피해를 본 반칙 항목을 살펴보고, 뒷부분에는 그 이유를 짚어보겠습니다. 

 

아이스링크
아이스링크

반응형

 

반칙 사유 - 레인 변경

쇼트트랙에선 고의로 다른 선수의 앞을 막거나, 신체의 어느 부분을 밀거나 잡으면 반칙이 됩니다. 고의로 방해하거나, 신체를 접촉해서 충돌을 일으키면 실격이 되죠. 그렇다면 '레인 변경'은 어떻게 반칙 사유가 되는 걸까요. 쇼트트랙은 기록경기가 아닌 순위경기라서 끊임없이 레인을 변경하며 순위를 바꿉니다.

 

하지만 무리하게 레인을 변경해서 다른 선수에게 해를 끼친다고 판정되면 실격을 시키게 되죠. 이번 베이징 올림픽 1000m 준결승에서 우리 선수들이 받은 실격 사유입니다. 정상적으로 레인을 바꾸지 않고, 무리하게 레인을 바꾸어서 순위를 올렸다고 판단한 겁니다. 

 

주심 재량이 큰 쇼트트랙 

시상대
시상대

 

올림픽에서 판정을 내리는 심판들은 모두 ISU(국제 빙상연맹)가 인정한 심판들입니다. 당연히 경험과 실력을 인정받은 사람들이죠. 주심 1명과 부심 4명이 있지만, 사실상 실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주심입니다.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너무나 명확하게 밀어 넘어뜨리는 경우야 판단이 쉽겠지만, 선수들의 실력이 상향평준화된 상황에서는 '고의성'을 판단해야 하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또 보는 관점에 따라 규정을 약하게 적용할 수도 강하게 적용할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기는 거죠. 

 

아무리 팔이 안으로 굽는다 해도, 이번에 내려진 판정들은 큰 아쉬움이 남습니다. 신체 접촉도 미미했고, 오히려 접촉을 당한 건 우리 선수들인데 말입니다. 순간의 기회를 파고들어 쇼트트랙이 가진 매력을 드러내는 선수들이 실격을 당한다면 앞으로 누가 쇼트트랙을 보게 될까요. 판정 논란이 계속 나올수록, 경기에 대한 흥미는 점점 사라질 것입니다. 그럼 심판들의 자리도 보장할 수 없겠죠.  

 

 

 

 

 

댓글